정보처리기능사 2024년 최신 시험일정, 실기 난이도,

개요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 기능사 자격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합니다. 이 자격증은 정보처리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며, 과거에는 난이도가 낮아 6세와 7세 어린이도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 컴퓨터활용능력 2급보다 약간 어려운 수준이었으나, 2020년 실기 출제 기준 개정 이후 합격률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2022년 1회 실기 시험에서는 1.7%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합격자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Q-net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는 군인 검정 과목에 포함되어 있으며, 난이도가 낮아 군대에서도 병사들이 많이 응시하는 시험입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포상휴가와 부대 내에서 시험 응시 기회를 제공받아 군생활에 유리합니다. 특히 공군의 통신전자 및 기계 특기 지원 시 유리하며, 가산점이 부여되어 좋은 특기 배정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에서도 가산점이 주어지지만, 0.5점으로 적습니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기는 CBT 방식으로 치르고, 실기는 주관식 필답형입니다. 2016년부터 주관식으로 변경되어 난이도가 상승했습니다. 필기시험 합격 후 2년 이내에 실기시험을 응시해야 하며, 합격자는 즉시 확인할 수 있지만, 실기시험 결과는 한 달 후 발표됩니다. 2020년부터는 연 4+1회 정기시험으로 전환되었습니다.

2026년부터 이 자격증은 프로그래밍기능사로 개편되며, 필기 과목이 프로그래밍 언어와 SQL 활용 등으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정보처리기능사는 명칭이 변경되지만, 정보처리산업기사는 기존 명칭을 유지합니다.

2024년 일정

구분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필기시험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정기 기능사 1회2024.01.02 ~ 2024.01.05
[빈자리접수 : 2024.01.15~2024.01.16]
2024.01.21
~
2024.01.24
2024.01.312024.02.05
~
2024.02.08
빈자리접수 :
2024.03.10~
2024.03.11
2024.03.16~2024.04.072024.04.17
2024년 정기 기능사 2회2024.03.12 ~ 2024.03.15
[빈자리접수 : 2024.03.25~2024.03.26]
2024.03.31
~
2024.04.04
2024.04.172024.04.23
~
2024.04.26
빈자리접수 :
2024.05.26~
2024.05.27
2024.06.01~2024.06.162024.07.03
2024년 정기 기능사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2024.05.21
~
2024.05.24
2024.06.16~2024.06.252024.07.10
2024년 정기 기능사 3회2024.05.28 ~ 2024.05.31
[빈자리접수 : 2024.06.10~2024.06.11]
2024.06.16
~
2024.06.20
2024.06.262024.07.16
~
2024.07.19
빈자리접수 :
2024.08.11~
2024.08.12
2024.08.17~2024.09.032024.09.25
2024년 정기 기능사 4회2024.08.20 ~ 2024.08.23
[빈자리접수 : 2024.09.02~2024.09.03]
2024.09.08
~
2024.09.12
2024.09.252024.09.30
~
2024.10.04
2024.11.09~2024.11.242024.12.1

실기 시험

정보처리기능사 실기시험의 난이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느낄 수 있지만, 우선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능력과 알고리즘 이해도가 요구됩니다. 전반적으로 어렵지 않고, 쉬운 수준의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기 때문에, 충분한 준비를 한다면 빠르게 시험을 합격 가능합니다.

실기 합격률은 2020년 개정 이후 난이도가 점점 어려워지면서, 가장 적게 합격했을땐 실기 합격률이 고작 1.7%까지 떨어진적 있습니다.

전체적인 시험 준비

  • 기출문제 중심: 실기 준비는 기출문제를 통해 접근.
  • 교재 활용: 시나공책과 추가 자료(유튜브 강의 등)를 통해 개념 이해.
  • 비전공자 고려: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강의 수강도 고려.

1) 암기 파트

  • 난이도: 하, 중, 상으로 구분.
    • : 큰 주제와 핵심 암기사항을 1~2회독으로 커버.
    • : 중요 주제의 세부 사항까지 암기, 2회독 이상 필요.
    • : 전체 주제 및 최신 동향 이해.
  • 추천 수준: 중 수준으로 준비, 필기와의 연관성 강조.

2) 프로그래밍 언어 파트

  • 난이도: 하, 중, 상으로 구분.
    • : C언어 기초 문법 이해.
    • : C언어, 자바의 배열과 클래스 이해.
    • : 기본서 1회독.
  • 추천 수준: 시간 여유가 있다면 상 수준으로 준비, 기출문제 풀이 중요.

3) SQL 파트

  • 난이도: 하, 중, 상으로 구분.
    • : SQL의 주요 구문 암기.
    • : 세부 구문 이해, 기본서 1회독.
    • : 정규화와 관계대수 이해.
  • 추천 수준: 중~상 수준으로 준비, 문법 암기와 기본서 활용.

최종 정리

  • 점수 배분: 암기파트에서 40점, 프로그래밍+SQL에서 20점 확보 목표.
  • 시간 관리: SQL을 먼저 확실히 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준비하거나, 시간이 많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부터 준비.
  • 출제 경향 이해: 출제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탄탄한 기초가 중요.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점수 0 / 5. 투표수 :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금지